Search
Duplicate

주식 용어Easy버전(작성 중)

목차(클릭하세요)
주린이들을 위한 용어 정리! 세세한 내용보단 큰 개념에 집중하

1. 기초-PER, PBR, ROE

1-1.PBR

높으면 고평가

1-2.PER

높으면 고평가

1-3.ROE

회사 보유 자본 대비 발생하는 이익
자본대비 수익률과 비슷한 개념
ReTurn on Equity
절대적인 개념으로 판단하지 말고, 평가 시점의 해당 금리를 고려해야

2. 추가

2-1. EV/EBITDA

EV: Enterprise Value(기업 가치를 의미)
EV = 시가총액 + 순차입금(총 차입금 - 현금 및 투자유가증권
EBITDA: Earnings Before Interest, Taxes, Depreciation, and Amortization(이자비용, 법인세, 유무형 감가상각비 반영전의 이익)
EBITDA = 영업이익 +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 + 제세
2개 모두 PER와 비슷
이 지표가 높을수록 기업 가치가 높은 것으로 해석
계산시 주가에 회사의 채무(=부채)를 추가한 개념
기업의 영업이익 대비 기업 가치

2-2. EPS (Earnings Per Share)

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며, 기업의 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값
EPS = 당기 순이익 / 발행 주식 수
이 지표는 주식 한 주당 기업이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,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
EPS가 높을수록 주당 이익이 높아, 그만큼 기업의 경영 실적이 좋다는 것을 의미

2-3. 당기 순이익 vs 영업 이익

당기 순이익
영업 이익
정의
기업이 특정 회계기간 동안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순수 이익
기업이 특정 회계기간 동안 자기 자본을 이용해 영업에서 창출한 순이익
계산
매출액 - 영업비용 - 비영업비용 - 세금
매출액 - 영업비용
특징
기업의 순 수익을 나타내므로, 세후 이익을 반영
기업의 영업 수익을 나타내므로, 비영업 비용과 세금을 반영하지 않음
영업이익
순수하게 영업만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
당기 순이익
영업이익을 포함한 일정기간의 총 순이

2-4.정리

EPS, ROE 높아야 좋다.
PER, PBR은 높으면 고평가
단순히 PER, PBR가 낮은 저평가주만 찾는 것은 X
보통의 미쿡 IT기업의 PER를 15~30정도까지 인정해 줌.
매출액에 현혹되지 말고, 영업이익, 당기 순이익을 보자!

3. 워렌 버핏의 명언

3-1. 잃지 않는 투자

3-2. 10년이상 보유하지 않으려면 단 10분도 보유하지 마라